본문 바로가기
정치경제

이 대통령, 나토 정상회의 불참! 그 속내엔 실용주의가 있었다

by 해피라이프99 2025. 6. 23.
반응형

이재명 대통령이  22일 서울 한남동 관저에서 열린 여야 지도부와의 오찬 회동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나토 정상회의를 안 간다고요?”

 

6월 24~25일,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리는 나토(NATO) 정상회의

이재명 대통령이 불참하기로 결정하면서 정치권과 언론이 술렁였습니다.

 

외교가라면 어김없이 출석 도장을 찍던 과거 대통령들과는 다른 모습.

하지만 여기엔 숨은 1cm의 외교 전략과 99cm의 실용주의가 숨어 있었습니다.

 

불참 결정의 배경: 단순히 “바빠서”는 아니었다

미국이 이란 핵시설을 공격하면서 중동 정세가 급변하고 있습니다.

그 여파는 기름값부터 안보 위기까지 전방위로 퍼지고 있죠.

 

여기에 국내는?

새 정부 출범 직후로 내각 인선부터 국정 운영 틀 잡기까지

손이 열 개여도 부족한 상황입니다.

 

대통령실은 “정말 가고 싶었지만,

여러 사정을 고려한 결과 국내에 남기로 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뭐랄까, 외교도 좋지만 ‘불 끄는 데 호스부터 챙기자’는 심정?

 

실용주의 외교의 전형적인 결정

이재명 대통령의 선택은 전형적인 실용주의 외교입니다.

형식적인 외교 무대보다는,

실제로 국익에 도움이 되는 선택을 우선하는 것이죠.

 

이번 나토 회의는 한미 정상회담 같은 실질적 성과가 담보되지 않은 상태였습니다.

괜히 갔다가 “사진만 찍고 왔다”는 평가를 받을 수도 있는 상황.

그럴 바엔 내부부터 단단히 다지는 게 낫다는 판단입니다.

 

“참석은 명예, 불참은 실익” — 실용주의 대통령의 선택

 

그렇다면, 나토 회의에 불참하면 손해는 없을까?

당연히 아쉬움도 있습니다.

나토 회의에는 G7과 EU 주요국 정상들이 모두 모입니다.

 

이들과 한자리에서 교류하며 국제적 존재감을 높일 수 있는 절호의 기회였죠.

또 미국 트럼프 대통령과의 회담도 성사 가능성이 있었지만,

불참으로 그 기회는 미뤄졌습니다.

 

“다자외교는 곧 국력”이라는 말이 있듯,

한국의 외교 폭을 넓힐 기회가 줄어드는 건 분명 아쉽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존재감’보단 ‘리스크 관리’가 더 중요할 때였던 겁니다.

 

국내 여론은? "잘했다 vs 아쉽다"

국내 반응은 엇갈립니다.

“국민의 삶부터 챙겨야지!”라는 찬성과

“국제무대에 빠지면 이미지 약해지는 거 아냐?”라는 우려가 공존하죠.

 

하지만 중요한 건 이 대통령이 결정의 이유를 명확히 설명했고,

후속 대응을 준비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나토와 협의해 정부 인사가 대리 참석할 예정이며,

한미·한EU 외교 채널도 유지하고 있습니다.

 

불참은 끝이 아니라 전략의 시작

한마디로, 이재명 대통령의 이번 불참은 ‘회피’가 아닌 ‘선택’이었습니다.

 

해외 언론에서도 ‘신중한 리더십’이라는 평가가 나오는 것도 그런 맥락이죠.

정치든 외교든,

결국 중요한 건 “언제 어디서 누구를 만나느냐”보다는 “왜 만나느냐” 아닐까요?

 

앞으로 한국은 중동 정세, 경제 위기, 미중 갈등 등

다양한 국제 이슈에 대응해야 합니다.

 

이번 결정은 그 출발점에서의 셈법 조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이 보여준 실용주의 외교,

앞으로 어떤 결과로 이어질지 지켜보는 재미도 클 것 같습니다.

 

다음엔 꼭 사진도 찍고 실익도 챙기는 1석2조 외교 기대해 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