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문화

남현희 전청조, 스포츠 스타와 비리의 아이러니

by 해피라이프99 2025. 9. 14.
반응형

전 펜싱선수 남현희(왼쪽)가 옛 연인 전청조(오른쪽)가 벌인 사기 사건의 공범 혐의를 벗었다. 사건이 알려진지 2년 만이다. /사진=남현희 인스타그램, 뉴시스

 

한국 체육계는 늘 드라마틱합니다.

그라운드에서의 역전승만큼이나,

경기장 밖에서 벌어지는 막장 드라마급 사건들이 사람들의 입을 떡 벌어지게 하죠.

 

이번 주인공은 전 펜싱선수 남현희와 그녀의 옛 연인,

그리고 법정 드라마의 단골손님이 된 전청조입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남현희는 전청조의 사기 공범 누명을 벗었습니다.

 

1년 10개월간 이어진 소송 끝에,

법원은 “남현희는 전청조의 실체를 몰랐고,

방조했다는 증거도 없다”라고 판결했습니다.

 

쉽게 말해, 억울한 옆 사람 취급을 받았다는 거죠.


 펜싱 검 대신 법정 싸움

펜싱 선수 시절, 남현희는 번쩍이는 검으로 상대를 제압했습니다.

하지만 은퇴 후에는 검이 아닌 변호사와 판사 앞에서 진술서로 싸워야 했습니다.

 

스포츠 스타가 법정으로 가는 길은 왜 이렇게 잦은 걸까요?

펜싱은 신속함과 판단력이 중요한데,

인생의 파트너 선택은 그렇게 날카롭지 못했던 모양입니다.

 

그녀의 전 연인 전청조는 “비상장 주식 투자하면 매달 500만 원 수익,

1년 뒤 원금 보장, 게다가 나중에 10배, 20배 수익”이라며 투자자를 홀렸습니다.

 

아마 펜싱 기술 대신 언변의 찌르기를 연마했나 봅니다.


 11억 소송, 그러나 남현희는 무죄

한 학부모는 전청조에게 무려 11억 원을 건넸습니다.

그 후 사기 사실이 드러나자,

화살은 곧장 남현희에게도 향했습니다.

 

“혹시 당신도 한패 아니냐?”라는 의심이었죠.

그러나 법원은 이렇게 정리했습니다:

 

“피고(남현희) 역시 피해자와 마찬가지로 전청조의 실체를 몰랐다. 방조 증거도 없다.”

즉, 남현희는 사기 드라마의 엑스트라였을 뿐이라는 겁니다.


 스포츠 스타와 구설, 왜 반복될까?

사실 스포츠 스타의 사생활 논란은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경기장에서는 ‘국가대표’로 박수를 받지만,

일상에서는 ‘뉴스 헤드라인’의 주인공이 되는 경우가 많죠.

 

문제는, 스타의 이미지가 사회적 신뢰로 직결된다는 겁니다.

선수 시절의 영광이 아무리 빛나도,

한 번 구설에 오르면 협회 제명, 지도자 자격 정지 같은 칼바람이 휘몰아칩니다.

 

남현희 역시 공범 혐의는 벗었지만,

이미 협회 제명과 지도자 자격정지 7년이라는 치명타를 맞았습니다.


 풍자의 시선: 스포츠계의 '막장 드라마'

스포츠는 페어플레이가 기본인데,

현실은 ‘막장 드라마식 플레이’가 더 자주 등장합니다.

 

지도자는 승부조작, 선수는 불법 도박, 전 연인은 사기극 주연이라니,

시청률은 안 나와도 구설률은 늘 최상위권입니다.

 

사실 국민들이 원하는 건 “감동의 금메달”이지

“법정 스릴러의 주연”이 아닙니다.

 

그런데 한국 체육계는 유난히 후자에 더 친숙해 보입니다.

스포츠 뉴스와 사회면 뉴스가 자꾸만 크로스오버하는 이유, 참 씁쓸하지요.


 스타는 스타답게, 법정은 변호사답게

남현희의 무죄 판결은 억울함을 풀어줬지만,

동시에 우리에게 묻습니다.

“왜 스포츠 스타들은 이렇게 자주 사건사고에 연루될까?”

 

답은 간단합니다.

사회적 신뢰는 경기 성적보다 지키기 어렵다는 것.

한 번의 부주의, 한 번의 잘못된 인간관계가 수십 년의 업적을 순식간에 무너뜨립니다.

 

남현희 사건은 ‘승소’라는 엔딩으로 마무리됐지만,

체육계 전체에는 여전히 쓴맛의 교훈을 남겼습니다.

 

검은 경기장에서만 휘둘러야 한다는 사실,

이제는 누구나 명심해야 하지 않을까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