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대한민국 군대.
드론이 하늘을 날고, AI가 작전 계획을 세우는 시대지만,
정작 병사 한 명의 인권은 여전히 “상급자의 기분”에 따라 좌우되는 현실.
제대를 두 달 앞두고 숨진 육군 병장 A 씨(21)의 사건은,
우리에게 묻는다.
“군대는 정말 달라졌는가?”
사건의 시작 — ‘두 달만 버티면 제대였는데’
지난달 18일 새벽,
전북 진안의 한 아파트 단지에서 A 병장이 숨진 채 발견됐다.
그는 전역을 불과 두 달 앞둔 상태였다.
군 생활의 고충을 털어놓는 문자메시지를 남기고 세상을 떠났다.
가족은 “부대 내 괴롭힘과 협박이 있었다”고 주장하며
부대 관계자들을 직권남용과 협박 혐의로 고소했다.
문제의 부대는 전북 임실 소재 육군 부대.
사건은 현재 육군수사단과 전북경찰청이 공조 수사 중이다.
군대와 경찰이 ‘누가 먼저 조사할지’ 논의 중이라지만,
정작 국민들은 알고 있다.
“누가 하든, 제일 중요한 건 진짜 원인을 밝히는 일”이라는 것을.
가혹행위? 기수열외? 그 단어, 왜 이렇게 익숙하지?
A 병장은 사망 직전 지인에게 보낸 문자에서 부대 내 고충과 압박을 토로했다.
‘기수열외’ — 이 단어는 군 인권사에 등장한 지 수십 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2025년에도 현역처럼 쓰이고 있다.
국방부는 해마다 “인권 강화, 병영문화 개선!”을 외친다.
하지만 병영의 실제 풍경은 여전히 “선임의 눈치, 간부의 권위, 후임의 생존술”.
AI 병사가 배치되는 세상에서도 ‘상급자의 말 한마디’는 여전히 절대 권력이다.
“군대는 사회의 축소판이라더니,
요즘은 오히려 사회보다 뒤떨어진 ‘고립된 소우주’처럼 보인다.”
수사 시작 — ‘군이 수사한다’는 아이러니
이번 사건은 현재 육군수사단이 1차 수사를 맡고 있다.
하지만 국민의 반응은 싸늘하다.
“군이 자기 일 수사한다는 게 무슨 의미냐?” 이런 반응은 결코 과장이 아니다.
이미 수많은 군 인권 사건이 ‘자체 조사’라는 이름 아래 묻혀왔다.
“조사 중입니다”로 시작해 “적절한 조치하겠습니다”로 끝나는 보고서들.
이제는 그 사이에 진실의 빈칸이 얼마나 큰지, 다들 안다.
가족의 목소리 — “아들은 군인이었지만, 사람으로 대해주길 바란다”
유족은 말한다.
“아들은 국가를 지키러 간 게 아니라, 인간으로 존중받기 위해 간 겁니다.”
가혹행위가 사실로 드러난다면,
이는 단순한 개인 비극이 아니라 군 문화의 구조적 결함이다.
군은 언제까지 “정신력”을 핑계로 인권을 밀어낼 것인가?
이제는 병사도 인간이고, 상급자도 교육받아야 한다.
‘충성’보다 앞서야 할 것은 ‘존중’이다.
“국방개혁 2.0은 됐는데, 인권개혁은 0.2도 안 됐다”
군은 매년 새로운 장비, 새로운 작전 체계, 새로운 구호를 도입한다.
하지만 정작 바뀌지 않는 건 내부 문화다.
“인권은 비밀문서가 아니다.”
그걸 잊고 있는 한, 군의 비극은 반복된다.
AI 드론으로 적을 잡는 시대에, 인간을 지키지 못하는 군대라면?
그건 첨단이 아니라 퇴행이다.
군대는 ‘국민의 자식’을 다루고 있다
이번 사건은 슬픈 뉴스이지만, 한편으로는 경고다.
군대가 “사람을 다루는 조직”임을 잊지 말라는 경고다.
병사는 부품이 아니라 사람이다.
‘전우애’가 구호로만 남지 않으려면,
지금이라도 병영의 구조적 폭력을 끊어야 한다.
A 병장의 죽음은 단지 한 사람의 이야기가 아니다.
이건 우리 사회가 아직도 바꾸지 못한 ‘시스템의 문제’다.
그리고 이 글을 읽는 우리 모두에게 묻는다.
“정말 군대는 달라졌다고 자신할 수 있는가?”
'사회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날: 세종대왕의 천재적 발명품, 한글은 인간을 위한 인공지능이었다? (1) | 2025.10.09 |
---|---|
이수정 검찰 송치: 허위정보, 10초면 올리고 수년은 책임진다 (1) | 2025.10.07 |
경기도 버스 파업, 도민 발 동동! 노사 협상 막판 드라마 (1) | 2025.10.01 |
서울 불꽃축제, 눈은 즐겁고 발은 고통받는 밤 (1) | 2025.09.27 |
사망원인 1위, 왜 한국의 40대가 자살을 선택하는가? (0) | 2025.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