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경제

한미 관세협상 타결! 이재명·트럼프의 딜 외교 승자는?

by 해피라이프99 2025. 7. 31.
반응형

이재명 대통령이 3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점검 태스크포스(TF) 3차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관세 전쟁, 드디어 휴전 선언!

그동안 한미 간 무역 줄다리기는 마치 '고무줄 탁구' 같았습니다.

왔다 갔다, 늘었다 줄었다 하던 관세가 이번에

드디어 25% → 15%로 공식 인하되며 무역 전쟁도 잠시 숨 고르기에 들어갔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 소식을 전하며

"큰 고비를 하나 넘었다"는 의미심장한 소회를 밝혔고,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 완전 개방!

이제 한국산 김치도 관세 없이 맛보자!"는 느낌의 발표를 했습니다.

(진짜 김치는 언급 안 했지만 말이죠 )

 

투자 vs 관세… 이건 거의 '딜의 미학'

협상의 핵심 포인트는 이렇습니다:

 

상호 관세 25% → 15%로 인하

한국, 미국에 총 3,500억 달러 투자

이 중 1,500억 달러는 조선 전용 펀드로 투입

미국산 LNG 및 농산물 대규모 구매 포함

 

미국은 “이 정도면 트럼프 타워 옆에 이재명 타워 하나 지어도 되겠네?” 싶은 수준의 반응이고,

한국은 "수출길 다시 뚫렸다, 나이스!" 분위기입니다.

 

이재명식 실용외교, 통했나?

이재명 대통령은 이번 협상을 두고

“국익 중심 실용외교의 결과물”이라 강조했습니다.

특히, 미국과의 협상이 “첫 통상 시험대”였던 만큼 의미가 큽니다.

 

기존에는 트럼프가 무섭게 “8월 1일부터 25% 관세 폭탄 간다!”고 으름장 놓았는데,

딱 한 달 만에 무역 평화협정 체결.

이건 거의 외교계의 K-드라마급 반전입니다.

 

트럼프의 ‘트루스소셜 발표’는 덤

트럼프는 자기 소셜미디어인 트루스소셜에 직접 올렸습니다.

“이재명 대통령과 백악관에서 만난다”,

“3500억 달러 투자 받았다”,

“미국 제품 수출 완전 개방됐다” 등 아주 자화자찬 모드였죠.

트럼프식 마케팅의 정석입니다.

 

물론, 디테일은 생략했습니다.

예: 자동차·철강 관세는 어떻게?

질문엔 '침묵 is 금'.

 

왜 중요한가? 이 협상의 3가지 의미

한국 기업의 미국 수출 불확실성 제거 가격 경쟁력 회복으로 수출 환경 안정

한미 전략산업 동맹 강화 조선, 반도체, 2차전지 등 분야별 협력 기반 구축

트럼프 재선 이후 통상 프레임워크 선점 ‘딜 외교’ 적응력 확보 = 향후 추가 요구 대비 가능

 

향후 전망: 한미 경제 협력, 더 뜨거워진다

이번 합의는 단기 협상의 끝이 아니라 장기 협력의 시작입니다.

조선업계는 “미국 진출 드디어 실현?”,

반도체 업계는 “IRA 이후 보완책 등장!”,

정부는 “이것이 국익 외교의 정석!”이라며 각자 기대감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한미 경제 동맹이 기술과 산업 중심으로 진화 중이며

미국 내 중국 견제 심화 속에 우리 한국의 전략적 입지가 강화되는 느낌을 받는 건

저만의 순진한 생각일까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