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문화

LG유플러스 해킹, 세 통신사가 털렸다 - 보안은 구멍 뚫린 와이파이?

by 해피라이프99 2025. 10. 23.
반응형

21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산하기관 국정감사에서 홍범식 LG유플러스 대표이사가 해킹 사태와 관련한 위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2025년, 대한민국 정보보안 역사에 길이 남을 한 해.

 

SKT가 뚫리고, KT가 뚫리더니... 이젠 LG유플러스까지 털렸다.

고객들 사이에선

"이럴 거면 우리가 해커를 고용하자"는 자조 섞인 농담이 돌고 있다.

 

세 통신사 모두 해킹당한 해, 이젠 이동할 통신사도 없다.

 

 LG유플러스, 해킹? 몰랐어요~

LG유플러스는 ‘우린 털리지 않았다’며 3개월을 버텼다.

하지만 화이트해커와 보안 전문 매체의 잇따른 폭로,

그리고 국감에서의 직격탄에 결국 손들었다.

 

KISA(한국인터넷진흥원)에 뒤늦게 해킹 정황 신고.

 

"유출은 됐지만 해킹은 아니다" — LG유플러스의 해킹 버티기 신공

 

이는 마치 도둑이 집에 들어와 물건을 가져갔는데,

현관문은 멀쩡하니 도둑이 아니라는 논리와 다를 바 없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접속 로그는 지울 수 있다’며,

침해가 없다고 단정 짓기 어렵다고 말한다.

 

 서버 폐기? 우연이라고 하기엔 너무 딱 맞는 타이밍

더 놀라운 사실은,

LG유플러스가 제보받고 딱 열흘 뒤에 관련 서버 1대를 물리적으로 폐기했다는 점.

이어서 운영체제(OS)도 새로 설치했다.

 

이쯤 되면 우연이라기보다는…

"디지털 증거 인멸 아니냐"는 의혹이 피어오르는 것도 당연하다.

 

그나마 LG는 고객 정보를 빼앗긴 건 아니라며 위안 삼지만,

아이러니하게도 해커가 손에 쥔 것은

내부 서버 목록 8938개, 계정 4만 2526개, 직원 실명 167개.

 

고객 정보가 아니라 ‘회사 내부 정보’란다.

이쯤 되면 고객은 “내 정보도 같이 팔아달라”는 말이 나올 법하다.

최소한 나도 무언가 쓸모는 있어야 하지 않겠는가?

 

 SKT, KT, LGU+…모두 털렸습니다

올해 대한민국 통신 3사는 나란히 해커들의 밥이 됐다.

SKT는 내부 시스템 허점, KT는 무단 소액결제,

LG유플러스는 ‘해킹 부정 후 서버 폐기’라는 트릴로지를 완성.

 

고객들 입장에선 "그럼 어디로 가야 하죠?" 묻고 싶다.

 

 보안, 지금 이대로 괜찮은가?

정부는 결국 나섰다.

‘해킹 시 기업 신고 여부와 무관하게 조사할 수 있게 제도 개선’을 예고했다.

 

안 한다고 버티면 “강제 조사 나간다”는 얘기다.

 

불시 점검도 예고되었으니, 다음 통신사 해킹 뉴스는 기대 안 해도 된다.

이제는 불시에 들이닥칠 테니까.

 

소비자는 어디로 가야 하나?

문제는 고객이다.

3사 모두 당했는데, 옮길 곳이 없다.

 

MVNO? 그들도 결국 3사의 회선을 쓴다.

요금제만 싼 ‘해킹 프록시’일 뿐.

결과적으로 우리는 ‘망(網)’은 갈아탈 수 있어도

‘망(亡)’은 피할 수 없었다는 슬픈 현실에 봉착했다.

 

지금 우리는 선택지가 없는 시대에 살고 있다.

해커는 열 일 하고, 통신사는 감추고, 정부는 뒤늦게 허겁지겁.

결국 개인정보는 ‘털리고 말리는 게 국룰’이 된 셈이다.

 

마무리하며

2025년, 통신 3사의 해킹 사태는 단순한 보안 사고가 아니다.

기업의 무책임, 제도의 허점, 그리고 소비자의 무력함이 삼각형을 이루는 완벽한 디스토피아다.

 

지금 필요한 건 책임 있는 보안 강화와 투명한 대응,

그리고 고객의 신뢰를 되찾기 위한 진심 어린 사과다.

 

그렇지 않다면?

고객들도 이젠 해커 쪽으로 커리어 전환을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지도 모르겠다.

 

돈도 잘 벌고, 잘만 하면 통신 3사보다 보안도 잘할 수 있으니 말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