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국제시사23

이스라엘군 가자시티 철수, "드디어 총을 내려놓다?" 휴전의 문턱에서 전쟁이란 건 늘 ‘누가 먼저 손을 내미느냐’의 문제다.그 손이 총을 쥐고 있느냐, 아니면 깃발을 들고 있느냐의 차이일 뿐. 2025년 10월 10일,드디어 이스라엘이 깃발을 든 쪽으로 움직이기 시작했다. 이날 정오, 이스라엘 방위군(IDF)은“가자지구에서 전투행위를 중단한다”고 공식 선언했다. 하마스와의 휴전 합의 1단계가 발효된 것이다.말하자면 중동의 피비린내 나는 뉴스 속에 ‘쉼표’ 하나가 찍힌 날이었다. “정오의 휴전” — 영화보다 더 극적인 현실이번 휴전은 단순한 전투 중단이 아니다.트럼프 대통령이 주도한 ‘가자 평화플랜’의 첫 번째 단계다.(네, 그 트럼프 맞다. 트루먼도 아니고, 다시 돌아온 트럼프다.) 플랜의 1단계는 이렇게 구성됐다. 1. 이스라엘군의 부분 철수2. 하마스의 인질 석방3. .. 2025. 10. 10.
블랙록 한국에 꽂혔다? “AI 수도” 담그고, 재생에너지로 저어보기 뉴욕 한복판에서 나온 한마디: “한국, 아태 AI 수도 가자”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의 래리 핑크 회장이 뉴욕에서 이재명 대통령을 만났습니다.악수만 하고 끝났냐고요? 아니요. 과기정통부–블랙록 MOU까지 착착.주제는 간단하면서도 거대합니다:한국을 아시아태평양의 AI 수도로 만들고,그 기반이 될 대규모 데이터센터와 재생에너지 인프라를 깔아보자는 것입니다. 네, 요즘 유행하는 “AI는 전기 먹는 하마” 공식 그대로죠. 핑크 회장 멘트 초간단 해설: “한국 증시 사상 최고치 축하!분위기 좋을 때, 글로벌 자본으로 AI 수도 꿈을 같이 밀어보자.” 무엇을, 어떻게, 얼마나?MOU 핵심: 한국 내 재생에너지 기반 AI 데이터센터 검토, 아태 지역 AI·RE 전환 투자 공동 준비.TF 구성: 정부–블랙록 태스크.. 2025. 9. 23.
네팔 시위: SNS 끊었다가 나라가 터졌다? 네팔 Z세대가 빡친 이유? 만약 아침에 눈을 떴는데인스타그램, 유튜브, 트위터(요즘은 X라죠?)가 전부 차단됐다면? 거기다 매일 보는 고위층은 사치품 들고 휴양지에서 셀카 올리는데,나는 라면도 사기 힘들다? 바로 그 일이 네팔에서 실제로 벌어졌습니다.그리고 결말은?국가 대폭발. 900명 탈옥. 전 총리 부인 사망. 총리 사임. 이 모든 게 단 "SNS 차단"으로부터 시작됐다는 사실,믿기시나요? SNS OFF → 청년들 ON FIRE네팔 정부는 지난 9월 5일부터 무려 26개의 SNS 접속을“정부에 등록 안 했다”는 이유로 차단했습니다. 유튜브, 인스타, 페북, X… Z세대의 생명줄을 끊은 거죠.그리고 그 결과?평화롭던 거리엔 방화와 화염이 가득 찼습니다. “이건 단순한 SNS 문제가 아니야.우리에겐 미래가 필요해.” – 분노한 Z.. 2025. 9. 10.
중국 승전 80주년 열병식: 4조 원짜리 허영 쇼와 북중러 동맹의 그림자 전쟁은 끝났는데, 지갑 전쟁은 현재진행형2025년 9월 3일,베이징 톈안먼 광장은 다시 한번 ‘대형 무대’로 변신했습니다.이름하여 “항일전쟁 승리 80주년 기념 열병식”. 시진핑 주석은 푸틴, 김정은과 함께 망루에 올라국제 언론의 스포트라이트를 받았습니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국민들의 한숨이 있습니다.이유는 간단합니다.이번 행사에 들어간 돈이 무려 4조 2천억 원.네, ‘전쟁은 80년 전에 끝났지만,지갑 전쟁은 지금도 계속 중’이라는 말이 절로 나옵니다. 열병식은 화려, 베이징은 준계엄행사 준비 과정은 마치 영화 1984의 한 장면 같았습니다.호텔 투숙객은 가방 검사를 받아야 했고,반체제 인사와 인권 활동가들은 “강제 휴가”를 떠나야 했습니다. 도심 곳곳에는 무장경찰이 깔렸고,시민들은 “국제 손님은 웃으.. 2025. 9. 3.
우크라이나 돈바스: 트럼프와 푸틴 평화 협정일까 또 다른 정치쇼일까? 2025년 8월, 세계 정치는 다시 한번 ‘드라마틱한 한 장면’을 맞이했습니다. 알래스카에서 열린 미·러 정상회담에서블라디미르 푸틴은 “돈바스를 넘기면 전선을 동결하겠다”는조건부 휴전안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내놨습니다. 그리고 놀랍게도 트럼프는 이 제안을 유럽 정상들과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에게 전달하며,종전 협상의 새로운 방향을 열어젖혔습니다. 문제는 이겁니다.트럼프가 왜 갑자기 방향을 바꿨느냐는 것이고,또 우크라이나와 유럽은 이 제안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느냐는 것이죠. 그 배경과 파급력을, 약간의 풍자와 함께 풀어보겠습니다. 트럼프, 왜 태세 전환했나?1. 국내 정치용 ‘성과 과시’트럼프는 대선 때부터 “내가 집권하면 전쟁을 하루 만에 끝내겠다”라고 큰소리를 쳤습니다.그런데 막상 휴.. 2025. 8. 17.
싱하이밍 경고: 반중 여론 단속 요청? 외교가 아니라 시트콤 이게 외교냐 시트콤이냐: 싱하이밍의 깜짝 요청지난 29일 외교 무대에 코미디 한 장면이 올라왔다.중국의 싱하이밍 전 주한대사께서 한국 정부에 아주 유쾌한 한마디를 던지셨다. "반중 극우세력, 단속 좀 해주시죠?"잠깐만요,그거 혹시 경찰서에 낼 민원인가요, 아니면 외교부에 낼 공문인가요? 이쯤 되면 외교가 아니라 국가 간 육성 콜센터다.여보세요, 거기 반중세력 단속 112죠? 진심인지 아닌지 헷갈릴 정도의 요청이지만,유감스럽게도 이건 농담이 아니었다.공개된 외교 포럼에서 당당히 나온 발언이다.그 자신감, 어딘가 낯설지 않다. 표현의 자유? 그건 잠깐 꺼두셔도 좋습니다대한민국은 표현의 자유가 헌법에 박혀 있는 나라다.누군가는 시를 쓰고, 누군가는 반중 플래카드를 든다. 그런데 외국 외교관이 와서 "그건 좀 .. 2025. 7. 3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