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7

리박스쿨 대표 백골단 발언, 국회 청문회에서 ‘팩트보다 철학’ 등장인물 소개: 손효숙, 리박스쿨의 철학자?대한민국 교육계에 요즘 가장 뜨거운 이름,바로 리박스쿨의 손효숙 대표입니다. 이름만 들으면 왠지 영어 리딩 학원 같지만,이 단체는 ‘대한민국 정통성 수호’를 외치는 극우 성향 교육 플랫폼으로,최근 각종 논란의 중심에 서 있습니다. 그리고 마침내 2025년 7월 10일 오늘,손 대표는 국회 교육위원회 청문회에 증인으로 등장해한 편의 정치 드라마 같은 발언들을 쏟아냈습니다. 백골단? “뭐가 문제인데요?”청문회 하이라이트는 단연 이 발언이었습니다.민주당 박성준 의원이“윤석열 전 대통령을 위한 백골단을 조직한 사실을 아느냐” 묻자,손 대표는 이렇게 답했습니다: “백골단이 뭐가 문제예요?” 참고로 백골단은 군사정권 시절시위대를 진압하기 위해 동원된 사복 경찰부대로,폭력.. 2025. 7. 10.
내년 최저임금, 1만210원 vs 1만440원 사이에서 벌어진 일 또? 네, 또입니다. 노사 합의 실패!매년 돌아오는 이 시기,최저임금 위원회는 마치 한국 드라마처럼 전개됩니다. '막판 협상' → '노사 간극 너무 큼' → '공익위원이 나섬' → '표결로 결정'.네, 2025년에도 이 익숙한 클리셰가 반복됐습니다. 결국 노사 합의는 불발됐고,공익위원들이 등장해 "내가 정리해 줄게" 하며‘심의 촉진 구간’을 제시했는데요,그 범위는 바로 10,210원 ~ 10,440원입니다. 왜 1만210원부터 시작하냐고요?하한선인 10,210원은 올해 최저임금 10,030원에2025년 소비자물가 상승률 예상치(1.8%)를 반영한 결과입니다. 쉽게 말하면, “물가도 올랐으니 월급도 그만큼은 올려야지!”라는 이야기죠. 그럼 1만440원은 왜?상한선인 10,440원은여기에 생산성 상승률(.. 2025. 7. 9.
내 남편과 결혼해줘 일본판, 충격적인 제목, 묵직한 복수극! “내 남편과 결혼해 줘”…? 충격적인 제목, 알고 보면 묵직한 복수극! 한때 사랑했던 남편.그런데 그 남편이 가장 친한 친구와 손을 잡고 나를 배신했다면?그리고 그 사실을 죽기 직전에 알게 됐다면?여러분은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tvN의 화제작 ‘내 남편과 결혼해줘’(원작 웹소설, 한국 드라마로도 방영됨)이이번엔 일본판 ‘私の夫と結婚して’로 새롭게 돌아왔습니다. 그런데 제목부터가 아주 파격적입니다.아니, 도대체 누구한테 누구랑 결혼하라는 건가요? 이게 무슨 제목이야? 하지만 곱씹을수록 무서운 복수의 서막이 드라마의 시작은 다소 충격적입니다.주인공은 죽기 직전,자신이 사랑했던 남편과 가장 친한 친구가 바람을 피웠다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심지어 이들은 주인공의 죽음을 방조했다는 암시까지... 그러던 어느 날,.. 2025. 7. 7.
일본 ‘7월 5일 대재앙설’과 도카라 열도 지진 이야기 2025년 7월 5일.영화 팬이라면 ‘종말의 날’ 같은 분위기를 느낄 수 있었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이 날짜가 일본에서는 꽤 진지한 ‘예언’으로 회자되고 있었죠.바로, 한 만화가의 꿈에서 시작된 ‘7월 5일 대재앙설’ 때문입니다. 그리고... 정말로 그날,일본 도카라 열도에서 규모 5.3의 지진이 발생했습니다. 이쯤 되면 “어라? 진짜 예언이 맞는 건가?” 하는 소리가 나올 만도 하죠. 만화 한 권이 불러온 혼돈의 카운트다운이 모든 시작은 일본 만화가 다쓰키 료 씨가1999년에 출간한 만화 ‘내가 본 미래’였습니다. 그는 “내가 꿈에서 본 2025년 7월 5일,거대한 쓰나미가 일본 열도를 덮쳤다”는 예지몽(?)을 그림으로 표현했고,그 만화는 한동안 ‘도서관에만 있는 도시전설’ 정도로 취급받았죠. 하지만.. 2025. 7. 5.
서울시 공무원 해임: “노래방 도우미와 ‘라방’? 그 실수의 후과 서울시 한 구청 소속의 공무원 A 씨.그는 SNS 시대에 한 가지를 간과했습니다.“카메라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는 진리를요. 지난 2월, 그는 유흥주점에서 노래방 도우미와 함께 라이브 방송을 켰고,‘공직자 품위 유지 의무’라는 이름의 법적 철퇴를 맞이하게 됩니다. 최근 서울시는 해당 공무원에 대해 해임 처분을 결정했으며,이 사실은 빠르게 퍼지며 “공무원의 사생활에도 윤리가 있다”는 중요한 메시지를 던졌습니다. 단순한 음주가 아니라, 문제는 공무원의 신분을 이용한 언행,그리고 시청자들을 향한 부적절한 발언 때문이었습니다. 품위 유지 의무? 그냥 ‘점잖게 살기’ 아니었어?절대 아닙니다.‘공무원 품위 유지 의무’는 단순한 덕목이 아닌, 법적 의무입니다. 국가공무원법 제63조는 이렇게 말합니다:“공무원은 직무.. 2025. 7. 4.
강남3구 부동산 세무조사, 정부가 칼 빼 들은 이유는? “강남 아파트 쇼핑 끝났습니까?”요즘 부동산 시장 분위기, 뭔가 심상치 않죠?강남 3구 집값이 꿈틀대기 시작하자마자 정부가 드디어‘부동산 쇼핑몰’ 모드 OFF, ‘세무조사 및 현장점검’ 모드 ON에 들어갔습니다. 특히 외국인의 고가 아파트 대량 매수, 법인의 편법 대출, 자금조달계획서상의 허위 기재,심지어는 실거주 안 하고 그냥 잠금장치만 채운 집들까지…정부가 말하길, "그거 다 봅니다. 아주 샅샅이요." 어떤 조사냐고요? “현미경급 디테일!” 국토교통부는 7월부터 서울 전역, 그리고 과천, 분당 등 수도권 주요 지역에 대해부동산 불법 행위 집중 점검에 돌입했습니다. 자금조달계획서 확인: 말이 자금조달이지, 사실은 ‘누가 돈 줬는지’ 보는 겁니다.외국인 거래: 해외에서 들여온 돈, 합법이냐 불법이냐 따져.. 2025. 7. 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