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회문화42

서울시 부동산 조각투자 (STO) 개인 투자자에게 정말 매력적일까? “RWA는 재료, STO는 포장지.”서울시는 이 포장지를 들고 시민과 함께 공공자산을 나눠 갖는 실험을 시작합니다. 이게 내 지갑엔 득일까요? 손해일까요?재미있고, 진지하게 뜯어봅니다. 먼저, 무슨 일이? 서울시가 ‘부동산 STO’ 공모를 예고 서울시는 활용도가 낮은 공공부지(폐 치안센터 등)를토큰증권(STO)으로 쪼개시민이 소액 투자할 수 있게 하는 시범사업을 추진합니다. 후보지로는 동작구 상도5치안센터, 은평구 신사1치안센터가 거론되고,공모는 내년 상반기 예정.파트너는 부동산 토큰 플랫폼 루센트블록. 요약하면, “내 동네 공공자산→디지털 증권→시민이 투자→수익 공유” 모델입니다. 부동산을 ‘쪼개 팔고’ ‘쪼개 가진다’—소액으로도 공공개발의 과실을 맛볼 수 있는 시대가 오고 있죠. RWA vs ST.. 2025. 9. 1.
스마트폰 금지법 국회 통과, 교실 풍경이 어떻게 달라질까? 드디어 국회가 칼을 빼 들었습니다.내년부터 초·중·고 학생들은 수업 시간에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없게 됩니다. “아니, 우리 때는 원래 못 썼는데요?” 하실 수도 있지만, 지금은 다릅니다.예전에는 선생님 눈치 보며 몰래 쓰던 게 이제는 “법으로” 못 쓰게 된 거죠. 마치 치킨 시켜 먹다 부모님한테 걸리는 게 창피했던 시절이,이제는 배달앱 자체가 차단된 느낌이라고 하면 딱 맞을까요? 법안 주요 내용, 간단 정리전국 모든 초·중·고에서 수업 시간 스마트폰 사용 금지예외: 장애·특수교육 학생, 교육 목적, 긴급 상황 (선생님이 시험 범위 검색할 때 허용?)2026학년도 신학기부터 본격 시행 핵심은 “수업 중엔 제발 휴대폰 좀 내려놔라”입니다.공부는 안 하고 틱톡 영상 찍다가 걸리면,이제는 단순히 혼나는 수준.. 2025. 8. 28.
외국인 수도권 주택, 매입 규제의 의미와 전망 최근 몇 년 사이 외국인의 수도권 주택 매입이 가파르게 늘었습니다.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연평균 26% 증가,올해는 7월까지만 4431건이 거래되어 이미 작년 기록을 추월할 기세였죠. 특히 중국인 매수자가 수도권 외국인 거래의 70%를 차지하며‘쇼핑하듯 집을 사간다’는 말까지 나왔습니다. 문제는 내국인과의 역차별입니다.내국인은 대출 규제, LTV·DTI 한도에 막혀 눈물의 전세 전전 중인데,외국인은 자국 자금을 들고 와규제 프리패스로 집을 쓸어 담았으니 불만이 터져 나올 수밖에 없었죠. 규제의 핵심은 무엇인가?정부는 서울 전역과 경기 23개 시군, 인천 7개 구를외국인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했습니다. 2025년 8월 26일부터 1년간,외국인이 주택을 사려면 지자체 허가가 필요합니다. 허가받아도 4개월.. 2025. 8. 22.
서울시 공무원 해임: “노래방 도우미와 ‘라방’? 그 실수의 후과 서울시 한 구청 소속의 공무원 A 씨.그는 SNS 시대에 한 가지를 간과했습니다.“카메라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는 진리를요. 지난 2월, 그는 유흥주점에서 노래방 도우미와 함께 라이브 방송을 켰고,‘공직자 품위 유지 의무’라는 이름의 법적 철퇴를 맞이하게 됩니다. 최근 서울시는 해당 공무원에 대해 해임 처분을 결정했으며,이 사실은 빠르게 퍼지며 “공무원의 사생활에도 윤리가 있다”는 중요한 메시지를 던졌습니다. 단순한 음주가 아니라, 문제는 공무원의 신분을 이용한 언행,그리고 시청자들을 향한 부적절한 발언 때문이었습니다. 품위 유지 의무? 그냥 ‘점잖게 살기’ 아니었어?절대 아닙니다.‘공무원 품위 유지 의무’는 단순한 덕목이 아닌, 법적 의무입니다. 국가공무원법 제63조는 이렇게 말합니다:“공무원은 직무.. 2025. 7. 4.
강남3구 부동산 세무조사, 정부가 칼 빼 들은 이유는? “강남 아파트 쇼핑 끝났습니까?”요즘 부동산 시장 분위기, 뭔가 심상치 않죠?강남 3구 집값이 꿈틀대기 시작하자마자 정부가 드디어‘부동산 쇼핑몰’ 모드 OFF, ‘세무조사 및 현장점검’ 모드 ON에 들어갔습니다. 특히 외국인의 고가 아파트 대량 매수, 법인의 편법 대출, 자금조달계획서상의 허위 기재,심지어는 실거주 안 하고 그냥 잠금장치만 채운 집들까지…정부가 말하길, "그거 다 봅니다. 아주 샅샅이요." 어떤 조사냐고요? “현미경급 디테일!” 국토교통부는 7월부터 서울 전역, 그리고 과천, 분당 등 수도권 주요 지역에 대해부동산 불법 행위 집중 점검에 돌입했습니다. 자금조달계획서 확인: 말이 자금조달이지, 사실은 ‘누가 돈 줬는지’ 보는 겁니다.외국인 거래: 해외에서 들여온 돈, 합법이냐 불법이냐 따져.. 2025. 7. 3.
워런 버핏 8조 원 기부로 증명한 진짜 '부자의 품격' ‘오마하의 현인’이라 불리는 투자계의 전설, 워런 버핏.그런데 이제는 ‘오마하의 기부왕’이라고 불러야 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왜냐고요?그가 또 한 번 무려 8조 원을 사회에 기부했기 때문입니다. 8조 원 기부? 이쯤 되면 “현금 비트코인”미국의 투자회사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인 워런 버핏은최근 자사 주식 1,236만 주를 기부했습니다. 그중 대부분은 게이츠재단(943만 주)에,나머지는 사별한 부인과 자녀들의 이름을 딴 재단에 기부되었죠.금액으로 환산하면 약 60억 달러, 우리 돈으로 약 8조 원입니다. 이 기부로 버핏의 누적 기부액은 총 600억 달러,한화 약 82조 원을 돌파했습니다. 참고로 우리나라 1년 복지예산 규모와 맞먹는 수준입니다.이쯤 되면 진짜 기부의 신이죠. “돈은 묻혀두는 게 아니라, 뿌.. 2025. 6. 28.
728x90
반응형